호수측정을 위해 링게이지를 발송합니다.
2012년 10월 28일 아트골드
졸업하시는 모든 분들께 행운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2013년 2월 19일 아트골드
졸업하시는 모든 분들께 행운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2014년 2월 19일 아트골드
위 시안으로 2015학년도용이 제작됩니다.
이상이나 수정사항 있으면 바로 연락부탁드립니다.
2015년 1월 19일 아트골드
졸업하시는 모든 분들께 행운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2015년 2월 4일 아트골드
위 시안으로 2016학년도용이 제작됩니다.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15년 12월 9일 아트골드
졸업하시는 모든 분들께 행운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2016년 2월 15일 아트골드
위 시안으로 2017학년도용이 제작됩니다.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16년 12월 15일 아트골드
졸업하시는 모든 분들께 행운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2017년 2월 2일 아트골드
겉면은 민무늬 링반지이고 반지 안쪽에 예시된 글씨체로 각인될 예정입니다.
확인하시고, 원하는 글씨 배열을 선택해 주셔야 합니다.
올해 추가 개발된 최신 공법으로 제작된 비슷한 반지가 있습니다.
아래 링크의 2018학년도용 실물을 체크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최근 제작된 비슷한 반지 살펴보기
2017년 11월 10일 아트골드
졸업하시는 모든 분들께 행운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2017년 12월 2일 아트골드
겉면은 민무늬 링반지이고, 안쪽은 예시된 도안처럼 제작될 것 입니다.
확인하시고, 이상있으면 바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2018년 11월 7일 아트골드
졸업하시는 모든 분들께 행운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2018년 11월 30일 아트골드
전년도에 비해 반지 폭을 약간 줄였습니다.
전년도 제작 당시의 순금도매시세는 1돈당 185,000원이였는데, 현재는 212,300원/1돈으로 전년도에 비해 많이 오른 상태입니다. 8월에는 24만원대까지 폭등했었으니까 현재는 많이 안정된 상태라는 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시세 변화를 바탕으로 전년도 제작했던 20호 이상의 평균호수를 기준으로 금년도 제작 방향을 검토한 결과, 전년도와 동일한 금액으로 전년도 사양을 유지하기는 어렵다는 판단을 했고, 동일한 금액으로 반지 폭을 약간 줄여 20호 이상의 호수를 원하는 사람도 그렇게 얇지않은 반지를 만들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당연하게, 작은 반지 호수를 원하는 사람들께는 좀 더 도톰한 두께로 큰호수와 같은 중량이 나올 수 있도록 조정할 것 이므로 호수 차이에 따른 금중량은 없을 것 입니다.
반지 안쪽에 각인되는 문구는 'Hanyang Univ.'가 공통문구이고, 공통문구 뒤에 개인이 원하는 문구를 각인할 수 있습니다.
이모티콘, 영문, 한글이 가능하고, 공통 문구를 포함하여 최대 30자(한글 25자)까지 가능하므로, 이 기준을 참고하여 각인 문구를 정하시기 바랍니다.
반지 바깥쪽은 아트골드가 자랑하는 Perfect Arch 기법으로 세상에서 최고로 정교한 타원형으로 제작될 것 입니다.
확인하시고, 이상있으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0월 22일 아트골드
2023학년도용으로 제작될 졸업반지 시안입니다.
반지 형태는 이전 반지 실물 사진처럼 제작될 예정이고, 금 색깔은 Yellow 와 Pink(Rose)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반지 안쪽에 각인하는 문구는 전체 공통 문구 'Hanyang Univ.'을 제외하고 추가로 20자 정도를 개인 문구를 넣어서 각인 할 수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지의 호수 측정법 안내
1. 주얼리 점포에 들려 '졸업반지 맞추는데 호수를 측정해 볼 수 있어요?'라고 먼저 말을 하면 100% 1분 이내에 측정해 줄 것 입니다. 만약, 거절하는 점포가 있다면... 그런 점포는 기억에서 지워버리세요^^
2. 아래 호수 측정법에서 'Paper Ruler' PDF 파일을 인쇄하여 3mm 크기의 종이자를 가위로 잘라 측정하시면 됩니다. 기준선에 얇은 반창고를 붙이고 조금 팽팽하게 잡아당겨 측정하시면 주얼리 점포에서 '링 게이지'로 측정하는 것 못지 않은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링크 주소를 프린터가 연결된 PC에서 그대로 붙여넣으면 됩니다.
3. 1번도 안되고, 2번도 힘들면 손가락 둘레를 알아서 정확하게 측정해 보고, 그 결과값을 반지 호수와 길이 대조표를 참고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이 방법은 부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은 감안하시고, 나중에 호수 변경시에 추가금이 들어갈 수 있는 부담도 참고하셔서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시안 확인하시고, 이상있으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11월 18일 아트골드
졸업하시는 모든 분들께 행운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아트골드
Metal | 14K Yellow Gold | ? |
Weight | 미정 | ? |
반지 폭 | 3mm | ? |
반지 높이 | 0.9t | ? |
제작방식 | Direct 3D Printing | ? |
각인방식 | Laser Engraving | ? |
밴드 형식 | Flat Band | ? |
바깥쪽 형식 | Perfect Arch 공법 | ? |
실버에도 등급이 있습니다. 은수저등과 같은 기물은 70~80% 함량의 은을 사용하고, 영국은 은화로 사용된 Stering Silver는 92.5%의 함량인데 쥬얼리에도 많이 사용되는 함량입니다. 이 함량이 동양인에게는 적절하지 않아 변색이 되는 함량이기도 합니다. 반면, 95.8% 이상의 함량의 은은 Britannia Silver라고 하는데, 주로 고급 은화나 칠보 소재의 쥬얼리를 만들때 주로 사용되는 함량이기도 하고, 적절한 강도와 변색이 가장 적어 동양인에게 적절한 함량이기도 합니다.
이 쥬얼리는 브리타니아 실버로 만들어졌습니다.
14K는 순금 58.5%와 합금용 Alloy 41.5%를 혼합하여 만드는 금 합금입니다. 변색이 없고, 강도가 높고, 세공에 적합하여 가장 많이 선호되는 합금이기도 합니다.
x14K는 순금 58.5%와 합금용 핑크색 Alloy 41.5%를 혼합하여 만드는 금 합금입니다. '로즈골드'라고도 표현하며, 가장 적절한 Pink Color를 만들 수 있도록 개발된 기준 합금에 해당되어 옅어보이는 18K와 강해보이는 10K와 비교됩니다.
x10K는 순금 41.7%와 은과 구리로 된 합금용 Alloy 58.3%를 혼합하여 만드는 금 합금입니다. 합금에 사용되는 Alloy 기술이 발달하여 미국에서는 10K의 반 정도 함량인 5K 제품도 많이 판매되고 있다는 점을 참고하시고, 금 색깔로는 14K와 거의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유사하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x18K는 순금 75%와 합금용 Alloy 25%를 혼합하여 만드는 금 합금입니다.
18K는 금의 강도를 최대로 유지하면서 황금색을 표현할 수 있는 최고의 합금 비율입니다. 함금용 Alloy는 은과 구리및 아연등이 혼합되어 아름다운 광택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반지와 손가락 등이 닫는 아래 부분에서 보석이 셋팅된 위면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단위는 mm입니다. 설계상의 수치이므로 제작과 세공 공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x다이야몬드 대용품으로 널리 사용되는 모조 다이야몬드입니다. 보석의 경도는 8~8.5로 유리 5~7보다 높아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흠이 나지 않고, 값이 싸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보석입니다.
물체의 단단함을 측정할 때 다이야몬드의 경도를 10으로 놓고 기준점을 잡아 상대적인 표현을 하고 있습니다. 유리는 5.5~7 정도이고, 루비는 9.0이고, Moissanite는 9.6정도를 갖고 있고 물리적, 화학적으로 천연 다이야몬드와 동일하여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전혀 다른 큐빅 지르코니와는 구별되고 있습니다.
특히, 일반적인 천연 다이야몬드를 판별하는 Diamond Tester를 통과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구별할 수 없다는 것이 큰 특징이기도 합니다. 천연 모이사나이트는 지구에 떨어진 운석인 메테오라이트(Meteorite)에서 나왔고, 매우 희귀하여 실험실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이 다이야몬드 대용품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휘광성과 반사율이 높아 천연 다이야몬드와 견줘도 손색이 없어 널리 퍼지고 있습니다.
xPerfect Arch
가장 아름다운 형태는 대부분 원의 중첩이나 원과 선의 적절한 만남으로 이뤄집니다. 가장 완벽한 원의 일부(Arch)를 반지 폭에 맞게 맞춰 가공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조형-세공-광택의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떨림조차도 이 완벽함을 표현하는데 흠이 되기 때문입니다. 유리판 위를 직선으로 굴러가는 진주와 미세하게 휘어져 굴러가는 진주의 가격이 2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대부분의 소비자가 잘 모르지만, 전문가는 그 완벽함의 가치를 인정합니다. 이러한 미세함을 극복하는 기술이 아트골드가 귀금속에서 추구하는 '아트(Art)'입니다.
기존 제조 방식이 깎아내는 방식이라면 3D 프린터는 쌓아가는 방식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1981년도 개념이 만들어졌으니, 1820년 1차 산업혁명으로 제조기술이 발달하면서 자리잡은 기존 제조 방식에 비하면 아주 짧지만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 갈 기본 기술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근래에는 조형 해상도가 사람의 손 기술을 넘어섰고, 관련 기술도 쥬얼리를 직접 만들 수 있을 정도로 발달하였습니다.
3D Jewelry의 모든 상품들은 하나 하나가 직접 3D 프린터로 출력하여 만든 상품입니다.
최고의 해상도와 관련 기술로 기존 제조 방식보다 훨씬 정교할 뿐 아니라 기존 제조 방식으로는 만들 수 없는 형상들로 만들어졌다는 점을 참고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직접 CNC로 디자인을 각인하는 기법은 기존에 틀을 만들어 복제하는 방식의 쥬얼리 제조 기법과는 차원이 다릅니다. 쉽게 말하면, 기존의 틀을 만들던 기술로 제품 하나 하나를 직접 만드는 기술이며, 이러한 직접 가공 제품은 정확도, 정교함, 세밀함등에서 복제 방식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디테일을 표현할 수 있는 정교한 기술입니다.
x고출력 레이져 장비로 표현되는 해상력은 기계적 XY좌표를 표현하는 CNC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아트골드에서는 좀 더 정교한 표현력을 갖추기 위해서 2021년 5월 고출력 레이져 장비를 도입하여 CNC와 병행하여 제품 제작을 하고 있습니다.
xDiamond Edge Cutting
다른 업체와 달리 아트골드는 반지 전문업체로써 특별한 기술을 갖고 있습니다. 먼저, 보통의 반지는 측면과 윗면이 직각으로 만들어져 반지를 착용하고 세면이나 화장을 하면 얼굴에 상처를 내기도 하기 때문에 반지를 뺀 상태에서 세면이나 화장을 함으로써 반지 분실의 가장 큰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애로점을 해결한 것이 Diamond Edge Cutting인데, 직각부분을 45도 각도로 날카로운 모서리를 Diamond로 깎아 냄으로써 화장이나 세면시에도 걸리적 거림이 없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특히, Diamond로 깎아내는 것은 유리면처럼 광택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평밴드(Flat Band)와 컴포어트 밴드(Comfort Band)는 반지 안쪽의 형상을 구분하는 명칭입니다. 시중의 거의 모든 반지들이 평밴드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고급 예물이나 결혼 반지에서 컴포어트 밴드로 제작된 예를 볼 수 있으나, 소장하기에는 만만하지 않습니다.
컴포어트 밴드처럼 안쪽을 둥글게 제작하면 착용감이 매우 좋고, 여름에도 반지 안쪽에 땀이 차지 않으며, 세면 후에도 물빠짐이 아주 좋아 반지를 착용한 상태로 세면을 할 수 있어 분실 염려가 없습니다.
좀 더 자세한 기술적인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평밴드(Flat Band)와 컴포어트 밴드(Comfort Band)는 반지 안쪽의 형상을 구분하는 명칭입니다.
플랫 밴드는 보통 반지 폭 4mm이하, 높이 1.2mm이하의 반지에 적당합니다.
컴포어트 밴드는 반지 폭 4mm이상, 높이 1.2mm 이상일 때 적당합니다. 보통 반지 폭이 4.5mm이상일 경우에는 여름에 땀이 차거나 세면시에 물이 반지와 손가락 사이에 머물러 갑갑함을 느끼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다소 비용이 추가되더라도 컴포어트 밴드로 제작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색의 불변성을 얻고자 하는 것은 색을 다루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희망하는 것 이겠지만, 그 결과물을 얻고 검증하고 확신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입니다. 다행히 쥬얼리에서는 비잔티움 시대의 칠보 유물이 1000년이 지나도 변색없이 발견됨으로서 그 결과의 검증까지 완료된 유일한 채색 도료라는 확신을 갖게 하였습니다. 색의 불변에 대한 수요는 쥬얼리보다는 고가의 하이엔드 시계업체에서 시작되였는데, 특희 PiaGet같은 경우는 다양한 칠보 데코레이션 시계를 제작/판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대에 칠보가 재 조명받는 이유는 예전에는 소수의 장인만이 가능했던 작업을 현대의 첨단 기술이 대신하고 있고, 더 나아가 표현의 한계를 뛰어넘는 부분까지도 첨단 기술로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칠보로 메탈에 채색을 하면 변색이 없을 것이라는 확신이 하이엔드 시계업체들의 방향을 이쪽으로 이끌어 가고 있는 것이 현재의 추세입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유럽에서는 Enamelist라는 전문 직업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일부 시계회사에서는 칠보 안료 회사를 매입 또는 설립까지 한다고 한다고 합니다. 또한, 영국이나 프랑스 쪽에서 아주 고가의 현대적 칠보 쥬얼리가 선보이기 시작하는 것도 이 연장선상에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은에 독(毒)이 묻으면 검게 변한다는 사실은 많이 알고 계실 것 입니다. 산화처리란 이러한 은의 고유한 성질을 이용하여 검게 착색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착색에 사용되는 물질은 사람에게 해로운 독이 아닙니다. 예전에는 유황덩어리가 용해된 물에 넣고 끓이면 은이 검게 변하여 '유화가리 처리'라고도 했으나, 현재는 환경문제로 사용하지 못하고 검게 변하게 하는 화학용액에 담가 처리하고 있습니다. 이 처리후에도 추가로 광택과 세척을 하기 때문에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없습니다.
x호수 측정
ArtGold에서는 기존 반지로 호수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과 종이자(Paper Ruler)를 출력하여 호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통하여 고객님께서 원하시는 호수로 주문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1. Paper Ruler 출력으로 측정하는 방법
2. 기존 반지를 활용하여 호수 알아보기 - 옆 그림 클릭
(이 문서들은 모두 PDF 파일이며, 어도비의 아크로벳 리더가 필요합니다. 만약, 이 프로그램이 없다면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
3. 종이를 잘라 길이로 반지 호수를 측정하는 방법 - 프린터 사용이 어려울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반지 폭에 맞는 종이를 잘라 길이를 측정하여 호수를 정하는 방법으로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지 폭에 맞게 종이를 길게 자른 후에 한쪽 끝에 반창고를 붙여 손가락에 고정하고, 손가락 살이 약간 눌릴 정도로 종이 띠를 잡아당겨 겹치는 부분을 표시하고, 표시된 시작점과 끝점의 길이를 자로 측정한 길이를 기준으로 반지의 호수를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숙대반지는 밴드 아래쪽이 좁은 디자인이므로 종이 띠의 폭을 2mm로 잘라 측정할 것을 권고드립니다.
호수 | 길이 | 호수 | 길이 | |
1호 | 40.8mm | 2호 | 41.9mm | |
3호 | 42.9mm | 4호 | 44mm | |
5호 | 45mm | 6호 | 46.1mm | |
7호 | 47.1mm | 8호 | 48.2mm | |
9호 | 49.2mm | 10호 | 50.3mm | |
11호 | 51.3mm | 12호 | 52.3mm | |
13호 | 53.4mm | 14호 | 54.5mm | |
15호 | 55.5mm | 16호 | 56.6mm | |
17호 | 57.6mm | 18호 | 58.6mm | |
19호 | 59.7mm | 20호 | 60.7mm | |
21호 | 61.8mm | 22호 | 62.8mm | |
23호 | 63.9mm | 24호 | 64.9mm | |
25호 | 66mm | 26호 | 67mm | |
27호 | 68mm | 28호 | 69.1mm | |
29호 | 70mm | 30호 | 71.3mm |